온실가스란?
온실가스(GHG, GreenHouse Gas)는 지구 대기 중에 존재하는 가스들 중 하나로,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고 열을 배출하여 지구의 온난화를 유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을 만들어 경작을 할때, 외부의 찬 공기를 차단하고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원리와 같아 “온실(greenhouse)”이라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하지만 온실가스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온도가, 지표면과 해수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유지가 불가능하여 기후변화의 근본원인으로 지목받게 되었습니다.
온실가스의 종류
주요 온실가스로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가스(HFC, CFC 등)가 있습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온실가스 중 가장 많은 양(80%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이산화탄소(CO2)
이산화탄소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인위적으로 발생된 기체입니다. 기후변화, 기후재앙을 초래하는 가장 많은 기체가 인류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것은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원의 배출량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50%는 발전과 산업 분야에서 발생합니다.
- 발전: 27%
- 산업: 23%
- 운송: 14%
- 건물: 6%
- 농업: 12%
- 기타: 12%
발전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발전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연소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산업은 철강, 시멘트, 화학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운송은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건물은 난방, 냉방, 조명 등 다양한 용도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농업은 가축 사육, 벼농사, 삼림 벌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기타는 쓰레기 처리, 폐기물 소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그 다음으로 발생되는 기체는 배출량 비중 약 8%를 차지하는 메탄(CH4) 입니다.
소의 트림과 가축 분뇨도 온실가스의 주범이라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매탄가스 배출원의 배출량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탄 발생량의 60%는 축산과 습지에서 발생합니다.
- 축산 (40%)
- 습지 (20%)
- 벼농사 (12%)
- 매립지 (10%)
- 석유 및 가스 생산 (6%)
- 폐기물 (4%)
- 삼림 벌채 (2%)
- 기타 (2%)
축산은 매탄가스 배출량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축산은 가축의 배설물과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습지는 매탄가스 배출량의 두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습지는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벼농사는 매탄가스 배출량의 세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벼농사는 벼의 뿌리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매립지는 매탄가스 배출량의 네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매립지는 쓰레기의 분해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석유 및 가스 생산은 매탄가스 배출량의 다섯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석유 및 가스 생산은 석유 및 가스의 추출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폐기물은 매탄가스 배출량의 여섯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폐기물은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삼림 벌채는 매탄가스 배출량의 일곱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삼림 벌채는 나무의 분해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합니다.
기타는 매탄가스 배출량의 여덟 번째로 큰 원인입니다. 기타에는 광업, 운송, 산업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됩니다.
온실가스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구평균온도 상승(온실효과):
적정한 온실 효과는 지구의 평균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해 온실가스의 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면 온실 효과가 지나치게 강해져 지구 온난화가 발생합니다. - 해수면 상승(극지방 빙하의 녹음):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과 빙하 지역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안가에 위치한 도시와 섬나라들이 침수 위험에 노출되게 됩니다. - 급격한 기후 변동: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 변화는 강수 패턴, 폭염, 가뭄, 폭우, 태풍 및 허리케인 등 극한 기후 현상의 발생 빈도와 강도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기후화는 농작물 생산, 식수 공급, 인프라 건설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생태계교란, 멸종으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
기후 변화로 인해 생태계와 동식물의 서식 지역이 변화하게 되면서, 생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후 변화에 취약한 종들은 멸종 위험에 직면하게 됩니다. - 인간 건강에 악영향:
기후 변화는 전염병의 유행, 열섬현상, 폭염과 열대야로 인한 고통 등 인간에게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영향은 인간 건강 문제 및 사회적 실질 비용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은 기후 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 경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제 입니다. 지속가능한 삶, 지속가능한 발전,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범 국가적 협력과 정치/경제/비즈니스/학계 등 전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은 인류의 의무를 넘어서 사명으로 여겨져야 할 것입니다.
'소소한 깨달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경제 (Circular Economy): 탄소중립 실현의 또 다른 방안 (0) | 2023.06.15 |
---|---|
코로나 바이러스?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 (0) | 2020.03.25 |